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들이 쓰는 OS는 보통 2가지로 정리됩니다. MS에서 제공하는 windows와 MacOS인데요. 당연히 리눅스나 유닉스라는 것도 있지만 일반인들이 사용할 일은 없겠죠. 이번 시간에는 최신버전인 윈도우 10 방화벽 해제 라는 주제로 글을 시작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윈도우 버전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무래도 7일것 같은데요. 내년인가요? 업데이트가 중지된다고 알려져서 많이들 고민하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윈도우 10버전을 사용하는데요. 안정성을 위해서 이것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사용하던 화면에 적응해서 인지 이전에는 윈도우 10을 접할때 너무 어렵더군요. 아무튼 최근에는 근처 PC방만 가봐도 손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이것입니다.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방화벽도 성능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불편하다는 의견들도 많더군요.
일단 오늘 윈도우 10 방화벽 해제 설정을 진행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하지만 시작에 앞서서 유의하실점이 있습니다. 사실 보안을 생각하신다고 하면 해제를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디펜더의 기능이 생각보단 좋기 때문에 써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 윈도우 10 왼쪽아래를 보시면 윈도우 키가 있죠. 이를 누르면 바로 위쪽으로 검색창이 있고 그곳에 "gpedit.msc"라고 입력해주세요. 정상적으로 오타없이 입력하시면 프로그램을 바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나타나면 관리자 -> windows 구성요소를 선택합니다.
그렇게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에서 windows 구성 요소를 더블 클릭 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등장하는데요.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혹은 windows defender 라고 쓰인 폴더를 더블 클릭 하시면 됩니다.
아무튼 이렇게 변경된 화면에서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함" 이라는 항목이 보이면 더블 클릭하셔서 항목을 열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이곳을 이용해서 윈도우 방화벽 해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함 " 설정에서 사용을 선택하시면 우리가 원하는 디펜더 끄기가 지정됩니다. 그럼 이후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적용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해당 메뉴를 찾기가 어려우신 분들은 windows defender 보안센터를 이용하시는 것도 간단합니다. 윈도우키 선택후 검색창에 defender라고 입력하시면 보안센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규로 열린 창에서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 설정을 변경하시게 되면 누구라도 간단하게 알림등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한번더 말씀드리지만 여러분이 사용중인 컴퓨터에 백신프로그램등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꼭 방화벽 해제하지 마시고 이용하시는 것이 그나마 안전하답니다. 그럼 다음에 다시 만나요.